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협 정기 예금 금리(모아모아통장, 연 최고 4.5% 금리)

by jjjjoooo 2025. 10. 16.

요즘 금융기관들은 단지 높은 이자를 주는 상품만으로는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기 어렵습니다. 특히 젊은 층을 겨냥한 ‘경험’과 ‘감성’이 더해진 서비스가 중요해졌죠.


그런 흐름 속에서 신협의 ‘모아모아통장’은 비대면 가입, 금리 혜택, 카드 꾸미기 요소, 캐시백 이벤트 등을 엮어 빠르게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신협 모아모아 통장 특징

모아모아통장은 자유롭게 출입금이 가능한 예금 형태로, ‘파킹통장’이라는 콘셉트를 내세워 출시하였습니다.

 

출시 초기부터 “입출금과 예·저축을 하나로”라는 메시지를 내세워 주목을 받았고, 별도의 복잡한 조건 없이 신규 고객에게 연 최고 5%까지 금리를 제공되고 있습니다.

 

 


가입 대상은 만 17세 이상이며, 앱 온(ON)뱅크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cu.onbank&hl=ko

 

신협ON뱅크 - Google Play 앱

신협에서 제공하는 신협온뱅크는 창구방문 없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른 금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play.google.com

 

또는 리온브랜치를 통해 비대면 가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계좌는 1인 1계좌로 제한됩니다. 

 

 

신협 모아모아 통장 금리

모아모아통장은 예치 금액 구간별로 서로 다른 금리를 적용하는 구조로, 사용자 규모별 맞춤 설계되어 있습니다. 

구간별 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50만 원 이하: 기본 연 3.5% → 신규 고객은 +1.0%p 우대 → 최대 연 4.5% 

50만 원 초과 ~ 300만 원 이하: 연 1.75% 

300만 원 초과 ~ 500만 원 이하: 연 2.5% 

500만 원 초과: 연 1.0% 

 

신규 고객에게 우대 금리를 적용하는 제도는 매력적이지만, 우대 조건과 지속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 우대는 첫 거래로 계좌를 개설한 신규자에만 적용되며, 이후엔 기본 금리 구조가 적용됩니다. 

https://m.cu.co.kr/mbranch/mai/MAI010001U

 

신협 리온브랜치 통합메인

신협 리온브랜치의 통합메인을 통해서 원하는 조합을 찾고 다양한 상품과 혜택을 누려보세요.

m.cu.co.kr

 

또한 매일 잔액을 기준으로 이자를 계산하는 구조가 도입되어 있어, 일복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앱에서 매일 쌓이는 이자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도 고객 입장에서는 체감 요소로 기능합니다. 

 

이런 구조는 소액 자금을 운용하려는 젊은 층에게 특히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대액 예치자에게는 상승 폭이 제한적일 수 있어 포트폴리오 설계 시 고려가 필요합니다.

 

 

캐시백 & 이벤트

신협은 9월 23일부터 신규 계좌 개설 고객을 대상으로 2개월 평균 잔액 100만 원 이상을 유지하면 응모할 기회를 주는 이벤트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 이벤트에서는 1명에게 100만 원, 2,000명에게 1만 원을 캐시백으로 지급합니다.

 



참여 경로는 포스터 QR코드 또는 온뱅크 앱의 ‘응모하기’ 버튼이며, 캐시백은 12월 말까지 대상 계좌로 지급 예정입니다.



과거에는 계좌 개설 선착순 2,000명에게 최대 1만 원 캐시백, 체크형 카드 연계 사용 시 신세계 모바일 상품권 증정 등의 이벤트도 동시 진행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이벤트는 단순히 가입을 유도하는 것을 넘어서, 계좌 유지와 카드 사용까지 연결시키는 유인 구조로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전략적입니다.

 

 

기능도 우수, MZ세대까지도 카꾸 감성 

기능적 혜택도 빠짐이 없습니다. 특정 조건(예: 편의점/커피/간편결제 등에서 7,000원 이상 결제 시 700원 환급)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소비 생활에 유의미한 보상을 연결, 월 최대 7회까지 가능합니다.

 

모아모아통장과 연계된 전용 체크형 카드는, M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카드 꾸미기’ 문화를 반영해 카드 자체를 하나의 개성 표현 수단으로 만들었습니다.

 

이처럼 디자인과 기능을 결합한 체크형 카드는 단순한 부가 수단을 넘어 계좌 중심의 금융 경험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를 위한 강점과 유의점

강점

복합 기능: 자유 입출금 계좌와 예치 금리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체감성 강화: 매일 이자 지급 알림, 앱에서 즉시 확인 가능 시스템 도입으로 사용자 체감성을 높였습니다.

감성 연결: 카드 꾸미기 요소, 소비 환급 혜택 등으로 단순 금융 상품 이상의 경험을 제공합니다.

추가 보너스 기회: 이벤트 활용 시 기본 혜택 외 추가 보상을 받을 기회가 있습니다.

 

유의점

고액 예치자에겐 불리할 수 있는 구조: 금리가 낮아지는 구간 구조가 있기 때문입니다.

신규 혜택 중심 설계: 우대 금리나 캐시백이 신규 고객 중심으로 설계된 경우가 많아, 장기 고객에게는 혜택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벤트 기간 제약: 혜택이 유효한 시간대가 한정적이므로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합니다.

금리 변동 리스크: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금리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입 전 최신 금리를 확인해야 합니다.

 

 

모아모아통장은 단순한 입출금 계좌를 넘어, 금융 경험을 디자인하고자 한 시도입니다. 출금과 입금의 자유, 구간별 금리 체계, 체크형 카드 디자인과 소비 보상, 이벤트 연계 등 복합적 요소들이 조합된 상품입니다. 출시 9개월 만에 17만 건을 돌파한 것은 이 전략이 일정 수준 효과를 본 것이고, 특히 젊은 층에게 어필한 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명심할 것은, 모든 금융 상품이 그렇듯 자신의 자금 규모, 운용 목적, 소비 패턴 등을 기반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혜택이 좋을 때 가입하되, 유지 조건이나 금리 변동 가능성은 항상 체크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