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 수당 총정리 (+모의계산기)

by jjjjoooo 2025. 9. 3.

출산과 육아는 축복이자 도전이고, 특히 경제적인 부담은 부모들에게 큰 고민입니다. 이때 정부가 지원하는 ‘육아휴직 급여’는 일과 가정 사이 균형을 맞추는 중요한 버팀목이 됩니다. 그러나 계산법이나 신청 절차가 복잡해 보이기 쉽죠. 오늘은 “육아휴직 급여란 무엇인지부터 계산법, 신청방법, 자주 묻는 질문까지“ 단계별로 쉽게 풀어드릴게요. 읽고 나면 누구나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수준을 예측하고, 준비 할 수 있습니다. 

 

 

2025 육아휴직 급여란?

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보험기금에서 지급하는 정부지원금입니다. 아이를 돌보기 위해 일정 기간 업무에서 벗어나는 동안, 임금을 일부 보전해주는 제도입니다. 내가 현재 해당된다면 얼마나 사용할 수 있는지, 어느정도 급여를 받는지 확인 해보실 수 있습니다.

 

 

● 대상: 임신 중이거나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가 있는 근로자
  기간: 자녀당 최대 1년. 맞벌이 부부의 경우, 부모 각각 한 자녀에 대해 1년씩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할 사용도 허용
  신청 주체: 회사가 아니라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로, 고용보험기금이 지급

 

여성·남성 육아휴직 수당 차이

기본적으로 남성, 여성 모두 동일한 기준이 적용되지만, 맞춤형 특례 제도가 있습니다.

  일반 경우: 성별에 상관없이 동일 기준 적용.

 6+6 부모육아휴직제‘: 자녀 출생 후 18개월 이내에 부모가 각각 6개월 이상 휴직할 경우, 첫 6개월간 통상임금의 100%를 기준으로 지급되며 상한은 부모별 최대 450만 원까지 증가
  한부모 근로자 특례: 첫 3개월 동안 상한액이 최대 300만 원까지 확대 적용

 

 

2025 육아휴직 급여 계산방법

(1) 2024년 기준 기본 계산법

● 첫 3개월: 통상임금의 80%, 하한 70만 원, 상한 150만 원
● 4~6개월: 동일하게 80% 적용하되, 상한은 120만 원, 하한은 70만 원
● 7개월 이후: 통상임금의 50%, 상한 120만 원, 하한 70만 원

 

 

 

(2) 2025년 이후 (법령 개정 반영)

● 1~3개월: 통상임금을 그대로 지급하되, 상한 250만 원, 하한 70만 원
● 4~6개월: 통상임금 그대로 지급, 상한 200만 원, 하한 70만 원
● 7개월 이후: 통상임금 80%, 상한 160만 원, 하한 70만 원

 

 

2025 육아휴직 급여 모의 계산기

● 고용보험 모의계산기: 고용노동부가 제공하는 공식 모의계산기로, 본인의 통상임금, 사용 기간 등을 입력하면 예상 급여 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남성·여성 맞춤 계산기로 6+6 특례도 확인 가능: 예: 2025년 이후,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 부모가 동ㆍ순차 육아휴직 시 첫 6개월 100%보장 상한액 등 계산


https://m.work24.go.kr/cm/c/f/1200/selecSimulateCalc.do?currentPageNo=1&recordCountPerPage=10

 

지원금 모의계산

육아기근로시간단축급여 계산해보기

m.work24.go.kr

 

 

2025 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

1) 신청 조건

●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

  육아휴직 사용 기간이 총 30일 이상일 것

2) 신청 절차

  온라인 (고용보험 누리집 또는 앱)

  사업주가 ‘육아휴직 확인서’ 작성 및 제출.

  근로자가 ‘육아휴직 급여 신청서’ 작성 후 접수

 

https://m.work24.go.kr/cm/main.do?topArea=EBM01

 

고용24_개인

나만의 고용서비스, 고용24

m.work24.go.kr

 

 

[별지 제100호서식] (육아휴직 급여¸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신청서-육아휴직급여.pdf
0.12MB

 

[별지 제102호서식]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인서_육아휴직.pdf
0.07MB

 

 

 

 

3) 방문 또는 우편 접수

  관할 고용센터에 신청서, 확인서, 임금 증빙자료(임금대장, 근로계약서 등) 제출

4) 신청 기한

  휴직 시작 후 1개월 이후부터, 종료 후 12개월 이내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2025 육아휴직 급여 질의 응답

Q1. 저는 6개월만 근무했는데, 받을 수 있을까요?

무급 휴일을 제외한 가입 기간이 180일 미만이면 대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고용센터에 문의해 확인하세요

Q2. 급여는 언제 지급되나요?

2024년 기준: 먼저 75%는 매월 지급되고, 나머지 25%는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무 시 일시불(사후지급)로 지급됩니다
2025년 이후: 사후지급 방식이 폐지되었습니다. (전액 즉시 지급)

Q3. 맞벌이 특별지원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6+6 부모육아휴직제’ 적용 시, 최대 월 450만 원까지 지원되며 세부 금액은 사용 기간에 따른 상한이 다릅니다

Q4. 육아휴직 급여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사이트는?

고용보험 누리집, 고용노동부 고용24, 고용센터 웹사이트에서 자세한 정보와 모의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 급여는 ‘일과 가정의 균형’을 실현하는 든든한 지원 제도입니다. 통상임금, 사용 기간, 특례 적용 여부에 따라 계산법이 다르지만, 고용보험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면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정확히 예상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꼭 알아야 하는 조건과 절차를 이해하고, 기한 내에 신청을 완료한다면 육아와 경제 모두 안심할 수 있는 든든한 지원이 되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