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기준 중위소득 50% 100% 정부 혜택(+2026 변경사항)

by jjjjoooo 2025. 8. 26.

사회복지 혜택의 중요한 기준인 ‘중위소득’은 2025년 8월 1일 이후 발표된 2026년 데이터부터 변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선 중위소득의 정의와 2026년 기준 현황, 그리고 이에 따라 달라지는 정부의 지원 정책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이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를 소득 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0가구가 있다고 가정하면 50번째 가구의 소득이 바로 중위소득입니다.

 

평균소득과는 다릅니다. 평균은 극단적으로 높은 소득자나 낮은 소득자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중위소득은 중앙값이기 때문에 실제 소득 분포를 더 현실적으로 반영합니다.

 

 

 

이 값은 정부 복지제도의 핵심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기초생활보장, 의료·주거·교육급여, 아동수당, 긴급복지 등 대부분의 복지 서비스는 해당 가구의 소득이 중위소득 몇 퍼센트 이하인지에 따라 자격을 결정합니다.

 

중위소득 100%란?
해당 연도 기준으로 발표되는 ‘기준 중위소득’ 값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인 가구의 중위소득 100%는 6,097,773원입니다. 이 값이 퍼센트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중위소득 50%란?
기준 중위소득의 절반 값으로, 저소득층 판단 기준으로 많이 쓰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인 가구의 중위소득 50%는 3,048,887원입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교육급여는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가 대상입니다.

 

 

 

 

2025 기준 중위소득  50% 100% 150%

기준 중위소득(100%)은 매년 8월 1일에 다음 해 수치를 복지부가 고시합니다. 2025년은 4인 가구 6,097,773원 등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복지 급여 선정기준은 2025년에도 “생계 32% · 의료 40% · 주거 48% · 교육 50%”로 유지됩니다(참고로 50% 수치가 여러 제도에서 많이 쓰여요)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08010300&utm_source=chatgpt.com

 

수급자선정기준 < 기초생활보장 < 복지 < 정책 :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

 

가구원 수별 2025년 중위소득 

(단위: 원/월, 소수점은 원단위 반올림)

가구원수 50% 100% (기준중위소득) 210%
1인 1,196,007 2,392,013 5,023,227
2인 1,966,329 3,932,658 8,258,582
3인 2,512,677 5,025,353 10,553,241
4인 3,048,887 6,097,773 12,805,323
5인 3,554,096 7,108,192 14,927,203
6인 4,032,403 8,064,805 16,936,091
7인 4,494,214 8,988,428 18,875,699

※ 210%는 고시값 × 2.10을 원단위 반올림해 산출했습니다(예: 4인가구 6,097,773 × 2.10 = 12,805,323원).

 

 

 

2025 기준 중위소득  정부 혜택

 

※ 아래의 사이트에서 소득인정액 모의계산이 가능합니다.

https://basicpension.mohw.go.kr/menu.es?mid=a10102020000

 

누가받나요? < 제도안내 : 기초연금

기초연금제도 소개, 대상, 혜택, 보도자료, 홍보영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asicpension.mohw.go.kr

 

● 50%: 교육급여, 일부 긴급복지, 지자체형 복지 등에서 주요 기준으로 활용. 2025년에도 교육급여 선정기준은 “기준중위소득의 50%”로 유지됩니다.

 

100%: 다수의 중앙·지방 정책(예: 청년·돌봄·의료비 지원 등)에서 상한/완화 기준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제도별로 소득·재산 산정 방식이 조금씩 달라 실제 인정소득이 표와 다를 수 있습니다.(소득인정액 개념). 기본 정의와 사용 근거는 복지부 공식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동수당, 에너지 바우처, 긴급복지지원 등: 가구의 중위소득 비율(주로 75% 이하 등)에 따라 지원 여부 결정

2026년 기준,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생계급여 선정 기준은 32% → 82만 556원 이하, 의료급여는 40% → 102만 5,695원 이하 등으로 제도 기준이 조정되었습니다

 

 

 

2025년 - >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변경사항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이렇게 바뀝니다!

 : 2026년에는 모든 가구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되었습니다. 인상률은 약 6~7%대입니다.

 

● 주요 변화

1인 가구: 239만 2,013원 → 256만 4,238원 (▲17만 2,225원, +7.20%)

4인 가구: 609만 7,773원 → 649만 4,738원 (▲39만 6,965원, +6.51%)

 

* 2025년 vs 2026년 가구원별 중위소득

가구원수 2025년 2026년 인상폭
1인 2,392,013원 2,564,238원 +172,225원
2인 3,932,658원 4,199,292원 +266,634원
3인 5,025,353원 5,359,036원 +333,683원
4인 6,097,773원 6,494,738원 +396,965원
5인 7,108,192원 7,556,719원 +448,527원
6인 8,064,805원 8,555,952원 +491,147원

 

* 2025 vs 2026년 급여별 기준금액 비교

구분 1인 가구 4인 가구
생계급여 (32%) 2025년: 765,444원 → 2026년: 820,556원 2025년: 1,951,287원 → 2026년: 2,078,316원
의료급여 (40%) 956,805원 → 1,025,695원 2,439,109원 → 2,597,895원
주거급여 (48%) 1,148,166원 → 1,230,834원 2,926,931원 → 3,117,474원
교육급여 (50%) 1,196,007원 → 1,282,119원 3,048,887원 → 3,247,369원

 

● 생계급여 지원 확대

1인 가구: 76만 5,444원 → 82만 556원 (▲5만 5,112원)

4인 가구: 195만 1,287원 → 207만 8,316원 (▲12만 7,029원)

 

실제 지급액은 선정기준액에서 소득인정액을 뺀 금액입니다.

 

의료급여 본인부담 기준

구분 입원 외래 약국
1종 의원·병원·상급: 없음 의원: 1,000원 / 병원: 1,500원 / 상급: 2,000원 500원
2종 의원·병원·상급: 10% 의원: 1,000원 / 병원·상급: 진료비의 15% 500원

 

● 주거급여 기준임대료 인상

 - 2025년 대비 최대 +3.9만 원(약 11%) 인상

 - 7인 가구: 6인 기준 동일

 - 8~9인 가구: 6인 기준의 10% 가산

 

● 교육급여 지원 확대

초등학교: 50만 2,000원 (▲1만 5,000원, +3%)

중학교: 69만 9,000원 (▲2만 원, +3%)

고등학교: 86만 원 (▲9만 2,000원, +12%)

 

 

 

 

2025년 발표된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도 대비 역대 최대 인상을 기록하며, 복지 수혜 가능성이 확대되었습니다. 소득 기준에 따라 해당되는 복지 혜택이 크게 달라지므로, 가구원 수에 맞는 중위소득 금액과 비율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육아, 주거, 의료 및 긴급지원 혜택을 받으려면, 중위소득 100% 및 210% 기준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